반응형

    최우선변제금 이하 보증금은 보증가입 면제 가능

     

     

    < 민간임대주택법 주요 개정사항 >

     

    1. 임대보증금 보증 가입 면제사유 규정

    2. 임대보증금 보증 미가입 처벌, 형벌과태료로 전환

    3. 임대보증금 보증 미가입 시 임대사업자 등록 직권말소 가능

    4. 계약 갱신가능기간을 임대의무기간에서 임대등록기간으로 연장

    5. 설명의무 위반 등으로 등록말소 후 2년 미경과 시 등록제한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임대보증금 보증 제도의 개선 임대사업자 관리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이하 민간임대주택법”) 일부개정법률 공포안(8.31. 국회 본회의 통과)97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914일 공포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임대보증금 보증이란 임대사업자보증금반환하지 않는 경우 보증 회사임차인에게 보증금 반환 책임지는 상품으로서,

     

    ’05년 공공건설임대를 시작으로 보증 의무가입을 시행하였고, ’15 민간건설임대, ’19100호 이상 매입임대 등으로 확대하였으며, 20년 주택시장 안정 보완대책(7.10 대책)에 따라 모든 등록임대주택으로 확대 적용*(법 개정시행: ’20.8.18)하였으나,

     

    * 신규 등록임대는 법 시행 즉시 적용하고, 기존 등록임대는 준비과정을 고려하여 1년 유예기간(’21.8.18. 이후 계약체결 시)을 둠

     

    - 보증 관련 일부 불합리한 사항이 있어 보증가입 면제 사유 규정, 보증 미가입 시 처벌 완화와 같은 제도개선 마련하고, 기타 임차인 보호를 위한 임대사업자 관리강화 방안도 추진하였다.

     

     

     

    개정법률 중 보증과 관련된 제도개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임대보증금 보증 가입 면제사유 규정 (’21.9.14. 시행)

     

    ㅇ 임차인의 보증금 반환 보장이 가능3가지 사례에 대해 임대사업자의 임대보증금 보증 가입의무 면제사유로 규정하였다.

     

    - 첫째, ‘임대보증금이 주택임대차보호법최우선변제금액 이하이고 보증 미가입임차인이 동의한 경우로서, 최우선변제금액은 다른 담보물권자보다 우선하여 변제를 받을 권리가 보장된다. 다만, 임차인의 알권리 보장, 최우선변제금액이 주택가액의 1/2의 범위 내에서 배정 받는 한계를 고려하여 임차인의 보증 미가입 동의를 받도록 하였다.

     

    임차인의 보증 미가입동의서

     

    < ’10.7.21. 이후 지역별 최우선변제금 현황 >

    적용기간 최우선변제금
    ’10. 7. 21.
    ~’13. 12. 29.
    서울특별시 : 2,500만원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 2,200만원
    광역시 및 안산시용인시김포시광주시 : 1,900만원
    그 밖의 지역 : 1,400만원
    ’13. 12. 30.
    ~’16. 3. 30.
    서울특별시 : 3,200만원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 2,700만원
    광역시 및 안산시용인시김포시광주시 : 2,000만원
    그 밖의 지역 : 1,500만원
    ’16. 3. 31.
    ~’18. 5. 22.
    서울특별시 : 3,400만원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 2,700만원
    광역시 및 안산시용인시김포시광주시, 세종시 : 2,000만원
    그 밖의 지역 : 1,700만원
    ’18. 5. 23.
    ~’21. 5. 10.
    서울특별시 : 3,700만원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및 용인시화성시세종시 : 3,400만원
    광역시 및 안산시김포시광주시파주시 : 2,000만원
    그 밖의 지역 : 1,700만원
    ’21. 5. 11.
    ~ 현재
    서울특별시 : 5,000만원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및 용인시화성시세종시김포시 : 4,300만원
    광역시 및 안산시광주시파주시이천시평택시 : 2,300만원
    그 밖의 지역 : 2,000만원

     

    * 담보물권(근저당 등)이 있는 경우 해당 물권 취득시점의 최우선변제금 적용

     

    - 둘째, ‘임대사업자가 기존 주택을 임차하는 공공주택사업자(LH, SH 등 지방공사)와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였고 해당 공공주택사업자(임차인)보증 가입을 한 경우로서, 공공기관이 보증금 반환을 위한 조치를 완료하였으므로 보증가입을 면제하였다.

     

    - 셋째, ‘임차인이 보증회사(주택도시보증공사, SGI서울보증)와 이에 준하는 기관(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운용하는 전세금 반환 보증에 가입하였고 임대사업자가 해당 보증의 보증수수료를 전부지급 경우로서, 중복가입 및 임차인의 수수료 이중부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증가입을 면제하되 임대사업자의 의무부담 전가방지하기 위해 임대사업자가 수수료를 모두 부담하도록 하였다.

     

    보증 미가입 처벌을 형벌에서 과태료로 전환 (’22.1.15. 시행)

     

    ㅇ 현재 보증에 가입하지 아니한 임대사업자는 형사처벌* 대상이나 형사처벌 부담으로 인한 제재의 실효성 부족, 위반 건수와 무관한 일률적 적용으로 의무위반에 따른 처벌의 형평성 문제 발생하여,

     

    *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

     

    - 형벌 조항삭제하고 위반 건당 임대보증금 10% 이하에 상당하는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하되, 상한액(3천만원)을 설정하였다.

     

    일부보증의 요건 보완 (’21.9.14. 시행)

     

    임대보증금 보증은 원칙적으로 보증금 전액이 대상이되 법정 일정요건 충족 일부금액*을 대상(일부보증)으로 할 수 있으나 그 요건 중 전세권 설정관련 기준이 불분명**하여 실제 적용에 혼선이 있어,

     

    * 일부보증액[(담보권 설정금액+임대보증금) - (주택가격*60%)]로서, 금액 0 이하인 경우 보증가입대상이 없어 보증에 가입하지 않아도

     

    ** ‘임차인이 전세권설정을 요구하고 임대사업자가 이에 동의하여 전세권이 설정된 경우로 규정(법 제49조제3항제3)하여, 임차인이 전세권 설정을 요구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 적용 여부 논란

     

    - 일부보증 요건으로 전세권이 설정된 경우 또는 주택임대차 보호법 상 대항력과 확정일자를 갖춘 경우로 명시하고, 임차인 의사반영하기 위해 일부보증에 대한 동의를 받도록 하였다.

     

    임대보증금 보증가입기간 연장 (’21.9.14. 시행)

     

    현재 임대보증금 보증의 가입의무기간이 임대의무기간으로 규정되어 기간 경과 후에는 가입여부 불확실하여 임차인 보호에 한계가 있어,

     

    - 임대사업자 등록 말소된 날(말소되는 날에 임대 중인 경우에는 임대차계약이 종료되는 날로 한다)까지 보증가입기간을 연장하였다.

    보증회사에서 보증가입해지 자료를 지자체로 제출 (’22.1.15. 시행)

     

    현재 지자체 국토교통부보증회사로부터 직접 보증 가입 자료를 취득법적 근거가 없어 임대사업자의 보증 가입 여부 파악 관리한계가 있었다.

     

    - 이에 보증회사는 임대사업자의 보증 가입 또는 해지 사실시장군수구청장에게 알리고 관련 자료를 제출하며, 해당 자치단체의 장 국토교통부장관에게 관련 자료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개정법률 중 임대사업자 관리 강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임대보증금 보증 미가입 시 등록 직권말소 가능 (’22.1.15. 시행)

     

    ㅇ 부채 과다로 인해 보증 가입이 거부되었는데도 사업자가 개선하지 않는 경우 처벌만으로는 실효성 확보가 곤란하,

     

    - 보증 미가입 사업자에 대해 시장군수구청장 직권으로 등록 말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다만, 하위법령에서 말소의 적용 요건을 엄격하게 규정하여 말소의 남용을 방지할 예정

     

    임대차계약 갱신가능기간 연장 (’21.9.14. 시행)

     

    임대사업자 임대의무기간 경과 후 등록 말소 전까지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반면, 임차인은 임대의무기간 이후에는 계약 갱신 여부가 불분명한 문제가 있어,

     

    - 임대료 체납 등 법정 거절사유가 없는 한 임차인이 임대차계약 갱신을 요구할 수 있는 기간을 당초 임대의무기간에서 임대등록기간(임대개시일부터 임대등록말소일까지)으로 연장하였다.

     

    임대사업자 등록 제한사유 추가 (’21.9.14. 시행)

     

    현재 거짓ㆍ부정 등록, 임대료 증액제한 위반, 임대차계약 거절 등으로 등록말소된 지 2년 이내인 자에 한해 등록 제한하나,

     

    - 선순위 담보권세금 체납 등 설명의무 위반, 보증금 미반환으로 인한 임차인 피해 발생, 지자체의 임대차계약 신고 보고 대해 거짓 보고 또는 3회 이상 불응하여 등록이 말소된 임대사업자도 말소 후 2년 이내에 등록을 할 수 없도록 제한하였다.

     

    국토교통부 이두희 민간임대정책과장 이번 제도개선을 통해 임대사업자보증 가입 부담경감되는 한편, 임차인권익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개정사항에 대한 이행여부를 확인하고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임차인의 주거안정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2021.09.10 - [부동산공부] - 개정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관련 주요 Q&A

     

    개정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관련 주요 Q&A

    개정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관련 주요 Q&A Q1. 보증 미가입 시 처벌을 형사처벌(2년 이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 벌금)에서 과태료(보증금 10% 이하, 3천만원 상한)로 전환하였는데, 처벌이 오

    skyground21.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