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세계약갱신 시 전세대출 증액을 위해서

    임대인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등 보증기관에서 전세대출보증을 받은

        임차인이 전세계약 갱신시 기존 전세대출을 그대로 이용(연장)

         하는 것은 임대인의 동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전세계약을 갱신하면서 전세대출금액의 증액이 필요한 경우에도

        임대인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HUG 등의 전세대출보증은 채권양도(HUG, SGI) 또는 질권설정(SGI)

        방식으로 취급됩니다.

     

    채권양도 또는 질권설정은 보증기관이나 대출기관이 그 사실을

        임대인에게 통지*(또는 승낙)하는 것으로 대항요건을 충족(효력은

        이미 발생)하며(민법 제349조 및 제450),

     

    - 보증기관 또는 대출기관은 해당 통지의 도달 여부 등을 임대인에게 확인합니다.

     

    * 통지 또는 승낙의 방식은 보증기관 또는 금융기관이 결정하며, 통지의 경우

      질권설정통지서 또는 채권양도통지서를 내용증명으로 보내 임대인에게 도달 시 완료

     

    한국주택금융공사(HF) 전세자금보증의 경우, 임차인 신용에 대한 보증으로

       임대인에게 통지 불필요

     

    또한, 대출 실행 시 대출기관은 임대인에게 임대차 계약의 존부

        및 허위 여부 등을 확인(유선 또는 방문 등)하지만 이는 임대인의

        동의를 구하는 절차는 아닙니다.

     

    다만, 주택임대차보호법개정 법률안 시행(7.31) 이후 전세계약

        갱신 시 전세대출 연장 등이 원활히 시행될 수 있도록

     

    필요한 경우 보증기관(HUG·SGI)내부 규정 및 절차명확하게

        하는 추가 조치를 보증기관 등 관계기관과 협조하여 검토계획입니다.

     

     

     

    200731(설명)전세계약갱신 시 전세 대출 증액을 위해서 임대인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주택기금과).hwp
    0.03MB

     

     

    궁금한 점

     전세자금 대출은 전세 만기(임차인 퇴거)시 보증금을 임차인에게 내어 주는 것이 아니라

     대출기관에 내어주는 것으로 알고 있고, 만약 임차인에게 내어주어 임차인이 대출기관에 반환하지 않은경우

     임대인이 불이익을 당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이렇게 임대인의 동의를 구하는 절차가 아니 한경우

     임대인은 그 어떤 불이익도 없다는 걸까요?

     

    임대인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럼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요구할 수 도 있다(?)

     

     

    https://news.v.daum.net/v/20200731163911416

     

    전세대출 집주인 동의 필요없다고?..현장 모르는 정부

    임대차3법 시행에 따라 세입자(임차인)가 1회(2년) 계약갱신을 할 수 있게 되자 집주인들이 전세대출 '거부'를 통해 '임대차3법'을 무력화하겠다고 나섰다. 갱신시 전세대출금을 증액을 하려면 집

    news.v.daum.net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