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 임대주택 용어

     

    장기전세주택

    시프트(shift)라고도 하며 서울시와 SH공사가 주변 전세시세의 80%이하로 무주택자가 최장 20년까지 살 수 있도록 마련한 전세주택.

    장기전세주택은 전세금이 주변 전세시세의 80%이하에 불과하고 전세기간이 최장 20년임.

     

    뉴스테이

    의무 임대 기간인 최소 8년 동안 상승률이 5%이하인 임대료를 납부하며 거주할 수 잇는 기업형 임대주택.

    전세 공급이 줄고 월세가 증가하자 중산층의 주거 안정을 우해 2015년부터 정부가 추진중인 정책.

    공공임대와 달리 주택 규모에 규제가 없고 입주 자격에 제한이 없음.

     

    10년 공공임대아파트

    국민주택기금이나 재정지원을 받아 주택공사. 지자체(지방공사), 민간건설사가 공급하는 임대아파트로 임대기간은 10년이다.

    임대기간이 만료되면 임차인이 대가를 지불하고 해당 아파트 소유권을 넘겨받을 수 있는 우선권을 가짐.

    장기전세와 뉴스테이와 달리 추후 소유권을 넘겨받을 수 있는 우선권을 가지기 때문에 재태크 측면에서도 유리함.

    10년간 저렴한 비용으로 임대 살다가 10년 후 분양전환 가능.

     

    국민임대주택

    공공의 재정 및 국민주택기금의 재원을 지원 받아, 30년 이상 임대할 목적으로 건설 또는 매입되는 주택을 뜻함.

    일정 소득 수준 이하의 무주택 가구주에게 저렴한 임대조건으로 공급하며 분양전환이 되지 않음.

     

     

    2020/12/14 - [부동산공부] - 부동산 기본 용어

    2020/12/15 - [부동산공부] - 부동산 임대주택 용어

    2020/12/15 - [부동산공부] - 부동산 대출관련 용어

    2020/12/15 - [부동산공부] - 부동산 사업별 용어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