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9월 『[월간]KB주택가격동향』조사결과
|
월 간 보 도 자 료 |
작 성 |
KB국민은행부동산플랫폼부 부동산정보팀/홈페이지(onland.kbstar.com) |
조사기준일 |
2020년 9월 14일(月)(*15일이 포함된 주의 월요일) (첨부파일 : 1건) 조사대상기간: 2020년 8월 15일 ~ 2020년 9월 18일 |
차기 보도 예정일 |
(10월통계) 2020년 10월 26일(月)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지역별 시황은 시계열파일 및 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매매시장은 전월과 유사한 상승, 전세시장은 매물 부족과 상승기대 높음
- 서울 전세가격 3개월 연속 높은 상승 (0.68%(7월) -> 1.07%(8월) -> 1.59%(9월))
전국 주택 2020년 9월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80% 상승을 기록했다. 상승세가 확대되지않고 지난달과 유사한 수준의 상승을 보여주었다. 주요 50개 아파트의 상승세도 전월과 유사한 수준의 상승을 유지했다. 대신 전세시장은 상승폭이 더욱 확대되었다. 광역시까지 상승세를 보였고, 전세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가 여전한 것으로 전세시장 안정화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매매시장
[매매] 전국적으로 상승세 이어져
KB부동산 리브온(Liiv ON)이 발표한 월간 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1.07%)은 전월(1.09%)과 상승폭이 유사하면서 상승을 이어갔다. 5개 광역시(0.53%)는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기타지방(0.37%)은 충남(0.26%), 경남(0.24%), 경북(0.20%), 전남(0.19%), 강원(0.15%), 전북(0.11%)은 상승했고 충북(-0.06%)은 하락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0.98%)가 상승했으며 인천(0.32%)도 상승을 보였다. 서울(1.42%)은 지난달(1.45%) 보다 상승폭이 약간 줄어들었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 세종 5.67% 상승 (세종의 시도통계 비교에서 제외, 강남구 보다 규모가 작음)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서울 아파트는 2.00%로 상승폭이 미미하게 줄어들고 있다. 연립주택이 0.72%, 단독주택 0.57% 또한 상승폭이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상승을 유지하면서 전체 주택은 1.42% 상승을 보였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인천을 제외한 지방 5개 광역시는 대구(0.90%)가 높게 상승하였고, 대전(0.73%), 울산(0.47%), 부산(0.41%)이 상승했고, 광주(0.05%)는 보합에 가까운 상승을 보였다.
[매매_서울] 지난달보다 대체적으로 상승폭은 둔화
서울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42%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노원구(3.07%)와 은평구(2.94%), 성동구(2.64%), 도봉구(1.79%) 등이 높게 상승하였고 하락한 지역은 없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매매_경기/인천] 경기는 0.98%, 인천은 0.32% 상승
경기(0.98%)와 인천(0.32%)은 지난달 보다 상승했지만 안정화 방향대로 흐르는 모습이다.
경기지역은 광명(2.86%), 수원 영통구(2.44%), 성남 분당구(1.64%), 구리(1.40%), 남양주(1.30%)가 높게 상승했고 하락한 지역은 없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전세시장
[전세_전국] 수도권 높게 상승, 기타지방도 상승하며 전국 전세가격 상승폭 커짐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87% 상승을 기록했다. 수도권과 광역시는 전세부족이더욱 깊어지고, 지방까지도 전세 부족을 보이면서 전국의 상승세가 높아졌다. 수도권(1.23%)도 전월 대비 상승폭 소폭 커졌다. 5개 광역시(0.48%)는 상승, 기타 지방(0.38%)도 상승했다.
5개 광역시에서는 대전(1.00%), 대구(0.79%), 울산(0.39%), 부산(0.24%), 광주(0.06%)까지 모두 상승했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전세_서울] 임대차보호법 이후 상승을 이어감
서울 전셋값(1.59%)은 임대차보호3법 발표 이후 상승을 보이고 있다. 은평구(3.29%), 노원구(2.66%), 송파구(2.62%), 성동구(2.42%), 강서구(2.19%)는 상승했고 하락한 지역은 없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전세_경기/인천] 경기 1.13% 상승, 인천 0.52% 상승
경기도는 전월 대비 1.13%의 상승을 보였다. 광명(3.00%), 수원 영통구(2.44%), 성남 분당구(2.27%), 안양 동안구(1.89%) 등이 상승했고, 하락한 지역은 없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전세가격 전망지수] 서울의 전세가격 상승 전망 계속
서울의 전세가격 전망지수가 기준점인 100을 훌쩍 넘는 143으로 계속 높아지면서 전세가격이 상승 전망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가장 낮은 광주도 107를 기록하면서 모든 지역의 전망지수가 100을 상회, 임대차보호3법 이후에도 전세가격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더 많다.
전망지수의 기준인 110 이상 넘으면서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143), 울산(137), 대구(137) 이다. 광역시 중에는 광주(107), 도지역에서는 전북(110)지역 전망지수가 가장 낮다.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가격 전망지수는 전국 4,000여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지역의 가격이 상승할 것인지 하락할 것인지 전망에 대한 조사를 하여 0~200 범위의 지수로 나타낸 것이다. 지수가 100을 초과(미만)할수록 ‘상승(하락)’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주) 매수가격 전망지수 = 100 + "상승예상" 비중 - "하락예상" 비중 (조사항목: 크게상승/약간상승/보통/약간하락/크게하락)
- 매수가격 전망지수는 0~200 범위 이내이며 지수가 100을 초과(미만)할수록 2~3개월 후 상승(하락)한다는 전망이 높음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선도아파트 50지수] 선도아파트 전월 대비 2.49% 상승
KB 선도아파트 50지수가 전월 대비 2.49% 로 상승을 기록했다. 4개월 연속 상승했지만, 7월 높은 상승을 보였다가 더 이상 상승폭이 커지지 않고 조금씩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선도아파트 50지수는 전국 아파트단지 중에서 시가총액(세대수X 가격) 상위 50개 단지를 매년 선정하여 시가총액의 지수와 변동률을 나타낸 것이다. 전체의 단지보다 가격변동에 영향을 가장 민감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전체 시장을 축소하여 선험적으로 살펴보는데 의미가 있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주) KB선도아파트 50지수
- 매년 12월 기준 시가총액 상위 50개 단지의 아파트를 선정하여 시가총액 변동률을 지수화 (2019.12월 기준, 순서 없음)
DMC파크뷰자이(남가좌동) |
목동신시가지(14단지)(신정동) |
잠실엘스(잠실동) |
강동롯데캐슬퍼스트(암사동) |
목동신시가지(5단지)(목동) |
잠실주공(5단지)(잠실동) |
강서힐스테이트(화곡동) |
목동신시가지(7단지고층)(목동) |
장미(1차)(신천동) |
고덕그라시움(고덕동) |
목동신시가지(9단지)(신정동) |
진주(신천동) |
광교중흥S-클래스(원천동) |
시범(여의도) |
캐슬골드파크(황금동) |
남산타운(신당동) |
반포자이(반포동) |
타워팰리스(1차)(도곡동) |
도곡렉슬(도곡동) |
삼풍(서초동) |
트리지움(잠실동) |
래미안대치팰리스1단지(대치동) |
신동아(서빙고동) |
파크리오(신천동) |
래미안블레스티지(개포동) |
신반포(한신2차)(잠원동) |
파크뷰(정자동) |
래미안슈르(원문동) |
신반포(한신3차)(반포동) |
한가람(이촌동) |
래미안퍼스티지(반포동) |
신반포(한신4차)(잠원동) |
한보미도맨션(1차)(대치동) |
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고덕동) |
아시아선수촌(잠실동) |
한보미도맨션(2차)(대치동) |
레이크팰리스(잠실동) |
아크로리버파크(반포동) |
헬리오시티(가락동) |
리센츠(잠실동) |
올림픽선수기자촌(방이동) |
현대(6차)(압구정동) |
마포래미안푸르지오(아현동) |
올림픽훼밀리타운(문정동) |
현대(신현대)(압구정동) |
목동신시가지(10단지)(신정동) |
우성1,2,3차(잠실동) |
화명롯데캐슬카이저(화명동) |
목동신시가지(13단지)(신정동) |
은마(대치동) |
|
* (2020.9월) 반포경남(반포동)이 재건축으로 전환되어 제외. 시범(여의도) 편입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