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5일 기준 『[주간] KB부동산 Liiv ON 주택시장동향』조사결과
|
주 간 보 도 자 료 |
작 성 |
KB국민은행부동산플랫폼부 부동산정보팀/홈페이지(onland.kbstar.com) |
조사기준일 |
2020년 10월 5일 (매주의 월요일) |
(참고: 9월28일주간 생략(추석연휴)으로, 이번주 주간변동률은 2주전(9월21일) 대비 변동률 입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세 완화 중 (8월24일 이후 0.40%대)
- 아파트 전세가격 8월24일 이후부터 전국 0.21% ~ 0.28%, 서울 0.40% ~ 0.50% 유지
-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2주전 0.28%상승률에서 줄어든 0.24%기록하면서 상승세 둔화
KB부동산 리브온(Liiv ON)이 발표한 주간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서울의 전세 가격상승세가 8월 24일 이후부터 0.40% ~ 0.50%를 유지하고 있다(0.40%(8/24) -> 0.42%(8/31) -> 0.45%(9/7) -> 0.42%(9/14) -> 0.50%(9/21) -> 0.44%(10/5)). 전국의 전세 가격 상승세도 8월 24일 이후부터 0.20%대를 형성하고 있다. (0.22%(8/24) -> 0.21%(8/31) -> 0.22%(9/7) -> 0.24%(9/14) -> 0.25%(9/21) -> 0.28%(10/5)).
서울의 매매가격은 0.24%상승률을 보이며 2주전(0.28%)보다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다. 서울 매수우위지수는 4주 연속 100 아래를 기록하면서 매수문의가 점차 줄어드는 모습이다.
경기(0.24%)는 2주전 대비 상승했고, 서울(0.24%)도 상승했다.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20%)는 대구(0.28%), 대전(0.27%), 부산(0.23%), 울산(0.13%)이 상승했고, 광주(0.00%)는 보합을 기록했다.
수도권(0.23%)은 2주전 대비 상승했고,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0.12%)도 상승했다. 세종(1.11%), 경남(0.11%), 충북(0.10%), 강원(0.10%), 전남(0.06%), 충남(0.06%), 경북(0.05%), 전북(0.04%)이 상승했고, 하락 지역은 없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매매 서울] 가격 상승 둔화되며 안정세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추석연휴가 지나면서 대부분의 지역의 상승세가 누그러지며 (2주전 대비) 0.24%의 상승률을 보였다. 최근 9월부터 변동률은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0.35%(9/7) à 0.37%(9/14) à 0.28%(9/21) à 0.24%(10/5)). 영등포구(0.39%), 강남구(0.34%), 강서구(0.34%), 광진구(0.32%), 중구(0.29%)가 상대적으로 조금 높은 상승을 보였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매매 경기·인천] 경기지역 상승세 완화 중, 인천 소폭 상승
경기는 (2주전 대비) 0.24%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하남(0.47%), 용인 수지구(0.46%), 남양주(0.44%), 김포(0.44%), 고양 덕양구(0.43%)가 상승했고, 평택(-0.01%)은 하락했다. 인천(0.17%)은 미추홀구(0.39%), 계양구(0.30%), 서구(0.28%), 연수구(0.15%), 부평구(0.07%)가 2주전 대비 상승했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전세 전국] 전세가격 2주전 대비 0.28% 상승하면서 최근의 0.2%대의 상승 유지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2주전 대비 0.28%의 상승을 기록했다. 수도권(0.38%)과 5개 광역시(0.22%), 기타 지방(0.14%)은 2주전 대비 상승했다.
서울은 2주전 상승률(0.50%)보다 축소된 0.44%를 기록했고, 경기(0.33%)는 2주전 대비 상승했다. 5개 광역시에서는 대전(0.44%), 울산(0.28%), 대구(0.28%), 부산(0.14%), 광주(0.03%) 가 상승을 기록했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전세 서울] 전세 상승세 소폭 완화
서울 전세가격 역시 매매와 유사하게 강남권과 비강남권 구분없이 상승했지만 2주전 대비 0.44%를 기록하며 상승세가 소폭 완화 중이다. 금천구(0.75%), 동작구(0.72%), 노원구(0.72%), 강북구(0.69%), 강남구(0.64%)의 상승이 높고, 하락 지역 없이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했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전세 경기·인천] 경기, 인천도 상승세 유지
경기도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률은 2주전 대비 0.33%를 기록했고, 인천(0.40%)은 상승률이
크게 확대됐다. 경기에서는 안산 단원구(0.65%), 광명(0.63%), 김포(0.61%), 성남 분당구(0.59%), 고양 덕양구(0.56%) 등이 높게 상승했고, 인천에서는 서구(0.99%), 미추홀구(0.45%), 남동구(0.44%), 계양구(0.35%), 연수구(0.14%)가 상승했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매수자·매도자 동향지수] 서울 83.7로 2주전 85.2에서 소폭 하락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83.7로 2주전(85.2)보다 더욱 하락하면서 매수문의가 조금 더 줄어들었다. 8월 말 이후 100이하로 하락(101.5(8/31) à 96.2(9/7) à 92.1(9/14) à 85.2(9/21) à 83.7(10/5))를 보이면서 안정화되고 있다. 강북지역은 2주전(83.1)보다 소폭 하락한 82.4를 기록했고, 강남지역은 지난 87.0에서 이번주는 84.8로 하락했다. 전국 매수우위지수는 2주전(70.6)보다 소폭 하락한 67.5를 기록했다.
자료: KB부동산 리브온(Liiv ON)
주) 매수우위지수 = 100 + "매수자 많음" 비중 - "매도자 많음" 비중 (조사 항목: 매수자 많음, 비슷함, 매도자 많음)
- 매수우위지수는 0~200 범위 이내이며 지수가 100을 초과할수록 '매수자가 많다'를, 100 미만일 경우 '매도자가 많다'를 의미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