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 집값 변동이 심해서 거래하실 때 양도소득세를 미리 계산해보고 싶은 분들이 많으실 것 같아요.

    오늘은 양도소득세를 어떻게 계산하고, 계산할 때 유의해야 하는 것들을 알려드릴게요.

    부동산 거래를 계획하고 계신다면 꼼꼼히 확인해주세요.


    양도소득세 계산

    1.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우선 양도소득세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해드릴게요. 개인이 토지, 건물 등 부동산이나 주식, 분양권 같은 부동산에 대한 권리를 양도할 때 발생하는 이익(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물론 다른 세금과 마찬가지로 양도하면서 이익이 발생하면 과세가 되지만, 이익이 없다면 과세되지 않습니다.

    양도소득세는 양도소득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등)

    = 양도차액

    양도차액 – 장기보유특별공제

    = 양도소득

    양도소득 - 양도소득 기본공제

    = 과세 표준

    과세표준 * 세율

    = 산출세액

    산출세액 – (감면세액 + 세액공제)

    = 자진납부 세액

    2. 관련 세율

    ● 양도소득세 세율 ●

    자산

    구분

    2016.1.1.~

    2017.1.1.~

    2018.1.1.~

    2018.4.1.~

    토지‧건물,

    부동산에

    관한 권리

    보유기간

    1년 미만

    50% 1) 2)

    2년 미만

    40% 1) 3)

    2년 이상

    기본세율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 분양권4)

    기본세율

    50%

    1세대 2주택

    (조합원입주원 포함)

    기본세율

    기본세율

    (조정대상지역은 10% 가산)

    1세대 3주택 이상

    (조합원입주권 포함)

    기본세율

    (지정지역5)은 10% 가산)

    기본세율

    (조정대상지역은 20% 가산)

    비사업용 토지

    기본세율 + 10%

    16%~52%6)

    미등기양도자산

    70%

    1) 하나의 자산이 둘 이상에 해당할 때에는 해당 세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산출세액 중 큰 것으로 함

    2) 주택 및 조합원입주권은 40%

    3) 주택 및 조합원입주권은 기본세율

    4) ‌무주택세대로서 양도 당시 다른 분양권이 없고 30세 이상(30세 미만으로서 배우자가 있거나

    배우자가 사망·이혼한 경우 포함 ) 및 조정대상지역 공고 전 매매계약하고 계약금을 받은

    사실이 증빙서류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 기본세율 적용

    5) ‌2017. 8. 3. ~ 2018. 3. 31.까지의 양도분만 10% 가산됨

    6) ‌지정지역 내 비사업용토지는 추가 10% 가산되나, 2020. 3. 현재 지정지역 없음

    ● 소득세법 기본세율 ●

    과세표준

    기본세율

    누진공제

    1천 200만 원 이하

    6%

    -

    1천 200만 원 초과 ~ 4천 600만 원 이하

    15%

    108만 원

    4천 600만 원 초과 ~ 8천 800만 원 이하

    24%

    522만 원

    8천 800만 원 초과 ~ 1억 5천만 원 이하

    35%

    1,490만 원

    1억 5천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

    38%

    1,940만 원

    3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40%

    2,540만 원

    5억 원 초과

    42%

    3,540만 원

    3. 세율적용 방법

    1) 하나의 자산이 둘 이상의 세율에 해당할 때에는 각각의 세율을 적용한 산출세액 중 큰 세액을 납부합니다.

     

    ex. 1년 2개월 보유한 비사업용토지를 2019년 중 양도할 때 납부할 세액은 얼마일까요?

    2년 미만으로 보유하고, 비사업용토지 두 가지 기준 중 세율이 높은 40%가 적용되서 산출세액은 20,000,000원이 됩니다.

     

    비교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산출세액

    A

    50,000,000

    40%

    (2년 미만)

    -

    20,000,000

    B

    50,000,000

    34%

    (비사업용토지)

    5,220,000

    11,780,000

    2) 1과세 기간에 2개 이상의 자산을 양도할 때에는 과세표준의 합계액에 일반세율을 적용한 세액과 각 자산별 세율을 적용한 산출세액의 합계액 중 큰 세액을 납부합니다.

     

    ex. 2년 이상 보유한 비사업용토지와 비사업용토지가 아닌 자산을 양도할 때 납부할 세액 중 높은 세율을 적용해 216,600,000원을 납부해야 합니다.

     

    비교

    구분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산출세액

    산출세액 합계

    A

    과세표준 합계

    600,000,000

    42%

    35,400,000

    216,600,000

    216,600,000

    B

    비사업용토지

    110,000,000

    45%

    14,900,000

    34,600,000

    205,200,000

    비사업용아님

    490,000,000

    40%

    25,400,000

    170,600,000


    양도가액 및 취득가액

    1. 양도차익 계산

    양도소득세는 부동산을 사고팔면서 얻은 실제 이익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양도소득세의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계약서 등 취득‧보유‧양도와 관련된 객관적인 증빙을 잘 구비해야 합니다.

    양도착익 = 실지 양도가액* – 실지 취득가액** – 필요경비 (①+②+③)

    *실지 양도가액: 상대방으로부터 실제 수수하는 거래 금액

    **실지 취득가액: 취득에 소요된 실제 취득가액

    ① 취득 시 부대비용

    : 부동산을 취득하면서 지출한 비용 중 취득가액 이외의 취득세, 중개수수료 등 취득에 소요된 모든 비용

    ② 취득 후 발생하는 자본적 지출 등 비용

    부동산을 취득한 후 용도변경‧엘리베이터·냉난방장치 설치비용

    섀시 설치비용, 발코니 개조비용, 난방시설 교체비용 등

    재해나 노후화 등 부득이한 사유로 건물을 재건축한 경우 그 철거비용

    ③ 양도비용

    : 자산을 양도하기 위하여 직접 지출한 계약서 작성비용, 공증비용, 인지대, 중개수수료, 양도소득세 신고서 작성비용 등


    장기보유특별공제

    1.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 대상

    : 보유기간이 3년 이상인 토지 또는 건물을 양도하는 경우에만 적용합니다.

    *미등기 양도는 적용 제외

    장기보유특별공제율

    2019.1.1 이후

     

     

    ① 토지‧건물

    공제율

    3년

    이상

    4년

    이상

    5년

    이상

    6년

    이상

    7년

    이상

    8년

    이상

    9년

    이상

    10년

    이상

    11년

    이상

    12년

    이상

    13년 이상

    14년

    이상

    15년

    이상

    토지‧건물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② 1세대 1주택

    공제율

    3년

    이상

    4년

    이상

    5년

    이상

    6년

    이상

    7년

    이상

    8년

    이상

    9년

    이상

    10년

    이상

    1세대

    1주택

    24%

    32%

    40%

    48%

    56%

    64%

    72%

    80%

    * 1세대 1주택 : 최고 80%까지 적용. 단, 비거주자 및 보유기간 중 2년 이상 거주하지 않은 경우는 일반공제율 적용으로 최고 30%

    2.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 등에 대한 장기보유특별공제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또는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을 임대사업자등록하여 다음 요건*을 모두 충족하고 양도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득에 대해서는 장기보유특별공제액을 계산할 때 8년(10년) 이상 계속하여 임대 후 양도하는 경우 50%(70%)의 공제율을 적용합니다.

    ① 임대보증금 또는 임대료의 증가율이 5% 이하

    ② 전용면적 85m2 이하(다가구 주택일 경우 가구당 전용면적 기준)

    ③ 임대개시 당시 기준시가 6억 원(비수도권 3억 원) 이하(2018.9.14. 이후 취득분부터)

    3. 장기임대주택에 대한 장기보유특별공제

    장기임대주택을 6년 이상 임대한 후 양도할 때에는 일반 장기보유특별공제율(연 2%, 최대 30%)에 임대기간에 따라 다음의 공제율*을 가산합니다. 이 경우 사업자등록과 임대사업자등록을 하거나 공공주택사업자로 지정돼 임대하는 날부터 임대를 개시한 것으로 봅니다.

     

    임대기간

    추가공제율

    6년 이상 7년 미만

    2%

    7년 이상 8년 미만

    4%

    8년 이상 9년 미만

    6%

    9년 이상 10년 미만

    8%

    10년 이상

    10%

    * 장기임대주택을 양도한 경우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 등에 대한 장기보유특별공제/장기임대주택에 대한 장기보유특별공제 둘 중 하나만 공제합니다.


    양도소득기본공제

     

     

    다음의 소득별로 각각 연간 250만 원을 공제하며, 동일한 소득별 자산을 1년에 2회 이상 양도하는 경우 먼저 양도하는 양도소득금액에서 순차로 공제합니다.

    *미등기양도자산은 공제 제외

     

    - 부동산, 부동산에 관한 권리, 기타자산

    - 주식 또는 출자지분

    - 파생상품

     

     

    출처:국세청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