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外ケーブル構造・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工法設計施工規準 (PC技術規準シリーズ)

     

     

    外ケーブル構造・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工法設計施工規準 
    pp104に誤りがありましたので改訂いたします 。

     

    PC강재 1차진동수 fc

    L' : PC강재의 길이(m)

    T : PC강재의 장력(kN)

    μ : 단위길이당 질량(t/m)

     

     

    또한, 공진을 피하기 위한 제진 장치는 PC 강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그림 9.7.2는 제진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PC鋼材(プレストレスト鋼材, プレストレス用鋼より線など)の1次振動数と構造物の固有振動数を比較하여求める振動数比(frequency ratio, frf_r)는 공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공진(resonance)을 피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이 사용됩니다.

    1. 진동수비 (frf_r)의 정의

    fr=fpfsf_r = \frac{f_p}{f_s}

    • fpf_p : PC鋼材の1次振動数 (1st natural frequency of prestressing tendon)
    • fsf_s : 構造物の固有振動数 (natural frequency of the structure)

    2. 공진 발생 우려 없는 기준

    공진을 방지하기 위해 진동수비 frf_r가 특정 범위를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입니다. 여러 연구 및 기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면 공진 발생 우려가 적다고 판단됩니다.

    ① 일본 PC技術協会 기준 (推奨値)

    • fr≥2.0f_r \geq 2.0 또는 fr≤0.5f_r \leq 0.5 인 경우, 공진 위험 없음
    • 즉, PC鋼材의 1차 진동수와 구조물의 고유진동수가 너무 가깝지 않도록 설계

    ② 유럽 및 국제 기준 (Eurocode, AASHTO 등 참고)

    • 1.5≤fr≤2.51.5 \leq f_r \leq 2.5 범위에서는 공진 위험 가능성이 있음 → 추가 검토 필요
    • fr∉(0.8,1.2)f_r \notin (0.8, 1.2) 범위이면 일반적으로 공진 위험 없음

    즉, 진동수비가 1.0 근처에 위치하면 공진 위험이 크고, frf_r 값이 2.0 이상 또는 0.5 이하인 경우 안전한 범위로 간주됩니다.


    3. 실제 설계 적용 예시

    예를 들어,

    • fp=10f_p = 10 Hz (PC鋼材의 1차 진동수)
    • fs=5f_s = 5 Hz (구조물의 고유진동수)

    이면,

    fr=105=2.0f_r = \frac{10}{5} = 2.0

    → 공진 위험이 있을 가능성이 있어 추가 검토 필요

    반면,

    • fp=15f_p = 15 Hz, fs=5f_s = 5 Hz → fr=3.0f_r = 3.0 → 안전
    • fp=3f_p = 3 Hz, fs=5f_s = 5 Hz → fr=0.6f_r = 0.6 → 안전

    4. 결론

    공진을 방지하기 위해 진동수비 frf_r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공진 발생 우려가 없음
    fr≥2.0f_r \geq 2.0 또는 fr≤0.5f_r \leq 0.5 → 안전
    ⚠️ 1.5≤fr≤2.51.5 \leq f_r \leq 2.5 → 추가 검토 필요
    fr≈1.0f_r \approx 1.0 (0.8~1.2) → 공진 위험 높음

     

     

     

    https://www.jpci.or.jp/eeee-seigo/seigo-soto-pure-no2.pdf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