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SC BOX 거더교의 주요 열화 손상 실태 고찰/강상규
표2 고속도로 제설환경 노출 등급
Class I의 남해는 전남이 아니고 경남임.
노출등급 분류 | 표면염소이온농도* | 강설량 (mm)** |
대상 지역[광역시, 도(시, 군)] | ||
축적계수 (kg/m^3/year) |
최대값 (kg/m^3) |
||||
Class Ⅰ | 0.5 | 20 | < 150 | 부산, 대구, 울산, 전남(광양, 여수, 남해, 고흥, 완도) 경북(영덕, 청송, 포항, 영천, 경산, 청도, 칠곡, 고령, 경주) 경남(창녕, 밀양, 의령, 양산, 함안, 진주, 창원, 김해, 하동, 사천, 고성, 거제, 통영, 진해, 마산) |
|
Class Ⅱ | 1.0 | 150~300 | 인천, 경기(김포, 부천, 시흥, 강화) 경북(영주, 울진, 예천, 안동, 영양, 의성, 구미, 군위, 성주) 경남(합천, 산청), 전남(순천, 보성, 장흥, 강진, 해남, 진도) |
||
Class Ⅲ | 1.5 | 300~600 | 서울, 대전, 경기(김포, 부천, 시흥 제외 전역) 강원(철원, 화천, 양구, 인제, 춘천, 횡성, 원주, 영월, 동해) 충남 및 충북 전역, 경북(봉화, 문경, 상주, 김천) 경남(거창, 함양) 전북(군산, 익산, 완주, 전주, 진안, 무주, 남원) 전남(함평, 무안, 목포, 영암, 나주, 화순, 곡성, 구례, 신안) |
||
Class Ⅳ | 2.0 | > 600 | 광주, 전남(영광, 장성, 담양) 전북(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고창, 순창) 강원(고성, 속초, 양양, 강릉, 평창, 홍천, 정선, 삼척, 태백) |
* 표면염소이온농도는 시간에 따라 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고려하였으먀, 최대값은 콘크리트 중량 대비 0.85%인 20kg/m^3로 제시하였으며, 최대값 도달 후 일정한 것으로 가정
** 강설량은 기상청 자료(1981~2010년의 연신적설량 평균값)을 토대로 분류
*** Class Ⅰ~Ⅲ에 해당하더라도 해발고도 450m이상일 경우 등급을 조정하며, 2개 지역에 걸치는 경우는 가혹한 조건으로 등급을 조정(예: Class Ⅰ =>Ⅱ)
출처 : 2023년 7월 콘크리트 학회지
반응형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