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S 24 14 21 콘크리트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4.6.10.2 확대기초판
① 철근의 인장력은 그림 4.6-14같이 경사균열의 영향을 고려한 평형조건을 적용하여 결정해야 한다.
x 위치의 인장력 Ts 는 기초 단부로부터 동일한 거리 x이내의 콘크리트에 정착되어야 한다.
② 정착된 철근의 인장력은 다음과 같다
Ts = R · zₑ / zᵢ (4.6-21)
여기서 R = x거리 이내 지반반력의 합력
zₑ = 외적 팔길이, 즉 R과 수직력 Nᵤ 사이의 거리
Nᵤ= A단면과 B단면 사이의 총 지반 압력에 해당하는 수직력
zᵢ = 내적 팔길이, 즉 수평력 C와 철근 사이의 거리
C = 최대인장력 Ts,ₘₐₓ에 해당하는 압축력
③ 팔길이 zₑ 와 zᵢ는 Nᵤ 와 C에 대한 압축영역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단, 단순계산법으로서 zₑ는 e=0.15b로 가정하여 결정할 수 있고(그림 4.6-14 참조), zᵢ 는 0.9d를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④ 그림 4.6-14의 lb 는 직선 철근에서 정착길이로 이용할 수 있는 길이를 나타낸다. 만약 Ts를 정착하기 위한 정착길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정착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갈고리철근이나 단부정착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⑤ 직선 철근의 정착에 대해서는 x의 최솟값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x의 최솟값을 근사적으로 결정할 때는 xmin=h/2로 가정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종류로 정착되는 철근에 대해서는 더 큰 x값을 사용할 수 있다.

본문의 기호와 그림의 기호가 다른 부분이 있다.
그림 4.6-14의 기호를 본문의 기호에 맞추면 다음과 같다.
Zc는 zₑ 로
T 는 Ts 로

EC2 9.8.2.2 Anchorage of bars 참고
2023.07.24 - [ 업무관련] - Column and wall footings Anchorage of bars
최근댓글